금융시장_전망;_올드_노멀Old_Normal의_귀환_Eco_20221123_Eugene_825877.pdf
2.80MB
유럽은 미리 얻어맞고, 천천히 일어설 듯 유로존 경제 성장률에 1년 선행하는 M1 증가율은 급격히 둔화 (2022/7월 5.5%yoy)됨.유로존 경제 성장률은 23 1Q~2Q (-)로 침체 진입 예상됨.
유로존 국가들은 이제 겨우 코로나19 수준의 내수 수준을 회복했거나, 아직 회복하지 못함. 올 겨울 에너지 위기 이후 1Q 이후 회복이 예상되나, 내수 부 진으로 회복 속도는 매우 더딜 것으로 예상됨(연간 유로존 성장률 (-) 예상).
2023년 유로존 물가 상승률은 5~6%대로 예상(2022년 8.6%). 그러나 2023년 하반기 이후 물가는 빠르게 둔화될 전망. 미국에 비해 유로 지역 고 용 수급 상황은 미국에 비해 양호함. 구조적 인플레 압력은 높지 않음.
인플레 부담이 없는 중국은 1Q 모멘텀 개선 예상 중국 정부는 내국인 여행자에 대한 격리 기간을 10일에서 7일로 조정할 것을 논의 중.
중국 고령층 백신 접종률(2회 이상)은 85.6%임, 3회 이상은 70%대, 2023년 1Q까지 90%대에 접근한 이후 단계적으로 완화될 것으로 예상됨.
제로코로나 정책 완화는 2023년 1Q 성장률 회복 가능성을 높일 듯. 올해 유동성 증가 속도를 감안할 때 중국 경기는 2022년 4Q 바닥으로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상.
'오늘 리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1207 모음 (0) | 2022.12.07 |
---|---|
2차 전지 : CAPA 가동시기 (0) | 2022.11.29 |
아셈스 (2) | 2022.09.30 |
테크트렌스 (0) | 2022.09.30 |
[리포트] 이슈보고서 - 전기자동차 확대에 따른 자동차 부품 산업의 영향 (0) | 2022.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