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xtech.nikkei.com/atcl/nxt/mag/nnw/18/041800012/031600205/
国内の「5G」利用実態が明らかに
日本で5G(第5世代移動通信システム)の商用サービスが始まってから早くも3年が過ぎようとしている。韓国や中国など近隣諸国と比べて日本の5Gの出遅れが指摘される中、特にミリ波帯(
xtech.nikkei.com
(2023.03.24)
일본에서 5G(5세대 이동통신시스템) 상용 서비스가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3년이 지나고 있다. 한국이나 중국 등 인근 국가들에 비해 일본의 5G 출연이 지적되는 가운데 특히 밀리미터파대(국내에서는 28GHz대)를 사용한 5G 전개의 어려움이 떠오르고 있다. 밀리미터파대에서 처리되는 트래픽량이 거의 제로이며, 거의 사용되지 않은 실태가 밝혀졌기 때문이다. 밀리미터파대의 5G를 후회하고, Sub6대(2.5G~6GHz대)의 주파수대를 사용한 5G전개에 주력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국내 5G 기지국은 5G 전용 대역의 Sub6대나 밀리미터파대 외에 4G대역을 전용한 700MHz대나 1.7GHz대, 3.5GHz대 등의 로우밴드·미드밴드에 의해 전개되고 있다. 5G만이 가능한 고속·대용량 통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Sub6대나 밀리미터파대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총무성의 조사 ▼ 에 따르면 5G의 전국 인구 커버율에 있어서, 4G대역을 전용한 로우밴드나 미드밴드의 기여가 크고, 밀리미터파대에 있어서의 인구 커버율은 0%였다.
왜 밀리미터파대의 5G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았는가. 이유는 2가지 있다. 하나는, 밀리미터파대와 같은 높은 주파수대는, 차폐물에 의해 전파를 차단되기 쉽고, 에리어 전개가 어렵다는 점이다. 외국에서도 밀리파대의 활용은 경기장과 의료관련 시설 등 스팟적인 활용이 주요 유스 케이스다.
또 하나의 이유로 일본의 밀리미터파대 대응 5G 스마트폰이 하이엔드 기종 등 일부에 한정되는 점도 꼽힌다. 특히 일본에서 큰 점유율을 가진 미국 애플의 'iPhone'은 국내 판매되는 모델은 밀리미터파대 비대응이다.
밀리미터 파대 대응 단말이 이용자에게 침투하지 않으면, 아무리 네트워크를 전개한 곳에서 밀리미터 파대의 활용도 증가하지 않는다. 결국, 현재의 일본에서는, 휴대전화 사업자가 적극적으로 밀리파대를 전개하는 동기 부여를 얻을 수 없는 사이클에 빠지고 있다.
https://www.ymobile.jp/sp/guide/article45/
スマホの「4G」とは?5Gへの移行時期や切り替える際の注意点を紹介 | Y!mobile - 格安SIM・スマホ
普段スマホで利用している「4G」とはどのような意味でしょうか。5Gとの違いや4Gから5Gへの移行期間について紹介します。
www.ymobile.jp
4G는 전국에서 제공되고 있는 반면, 5G는 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는 4G에서 5G로의 전환 기간이 됩니다.
2022년 총무성의 발표에 따르면 5G 인구 커버율은 2025년도 말에 걸쳐 전국의 95%, 2030년도 말에는 전국·각 도도부현의 99%를 목표로 정비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2 .
2022년 10월 시점에서 4G 종료에 관한 공식적인 정보는 없기 때문에 잠시 4G와 5G가 병행하여 운용되는 기간이 될 수 있습니다.
https://www.soumu.go.jp/johotsusintokei/whitepaper/ja/r02/html/nd114140.html
総務省|令和2年版 情報通信白書|5G市場の予測
第1部 5Gが促すデジタル変革と新たな日常の構築 第4節 5Gが変えるICT産業の構造 (4)5G市場の予測 3Gから4Gへの移行に際しては、新たな移動通信端末としてスマートフォンが登場し、その機
www.soumu.go.jp
일본 국내에서의 5G 보급은 어떻게 예측되고 있는 것일까. 여기에서는, 주식회사 노무라 종합 연구소가 2019년 11월에 공표한 예측에 대해 소개한다. 이 회사에서는 고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5G는 4G와 동등한 영역을 커버하려고 하면 보다 많은 기지국을 설치할 필요가 있음 , 에리어 확대에는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교적 느린 시장의 상승을 상정하고 있다. 그 결과, 2025년 시점에서는, 휴대전화 총 판매 대수의 56%가 5G 대응 기종이 되고(도표 1-4-1-35), 계약 회선 베이스에서는 46%가 5G 계약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 도표 1-4-1-36 ).
5G의 보급은, 4G의 개시시에 비하면, 비교적 완만하게 진행해 가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이용가능 영역의 정비에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 스마트폰 등장과 같은 이용자 환승을 유인하는 요소가 부족한 것 등이 신중한 예측이 된 이유로 꼽힌다. 이들은 어디까지나 현시점에서의 예측이며, 향후, 혁신적인 이동통신 단말기, 매력적인 요금 플랜, 획기적인 유스 케이스 등의 등장이나, 에리어 정비의 진척 나름으로는, 이러한 예측이 덮을 가능성 도 생각할 수 있는 곳이다.
https://k-tai.watch.impress.co.jp/docs/news/1477289.html
5Gミリ波の人口カバー率はほぼゼロ、総務省の会合で4キャリアの担当者が語ったこと
総務省は9日、「5Gビジネスデザインワーキンググループ(第3回)」をオンラインで開催した。
k-tai.watch.impress.co.jp
(2023.02.09.)워킹그룹 사무국 자료에서는 통신사업자별 5G 기지국 정비 상황 등의 현상이 나타났다. NTT 도코모와 라쿠텐 모바일은 고주파 대역의 기지국이 중심으로, KDDI나 소프트뱅크는 저~중주파수 대역의 기지국이 많아지고 있다고 한다.
또, 밀리미터파라고 불리는 28GHz대의 인구 커버율에 대해서는, 4캐리어 모두 0.0%로, 한정적인 이용에 그치고 있다. 이에 비례하여, 밀리미터파로 취급하는 통신량도 0.2%로 매우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