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분석

이노와이어리스 개요

최선을다하는행복 2023. 7. 9. 19:39

계열회사 계통도

당사는 국내 자회사 주식회사 큐셀네트웍스와 해외 자회사 Accuver APAC Limited(홍콩법인), Innowireless India Services Private Limited (인도법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Accuver APAC Limited(홍콩법인)은 그 예하에 완전 자회사인 Accuver Americas Inc.(미국법인), Accuver Co., Ltd.(일본법인), Accuver EMEA Limited(영국법인), Accuver EMEA sp. z o.o.(폴란드법인), Accuver Shanghai Co., Ltd.(중국법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국내는 당사의 영업부서에서 모든 제품의 판매를 전담하고 있으며, 해외는 미국, 일본, 홍콩, 영국, 폴란드, 중국의 6개 지역거점을 중심으로 당사의 해외 판매조직인 Accuver에서 전 세계 고객들에게 우수한 성능의 제품과 서비스를 꾸준히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장 여건(2022.12 사업보고서 내용)

 

글로벌 이동통신 서비스 시장은 전국 이동통신망 기반의 통신서비스와 자율주행, 스마트 팩토리, XR등의 융합서비스 두 축을 중심으로 발전 중입니다. 특히 융합서비스 시장은 통신서비스 시장과 더불어 빠르게 성장하며 추후에 이동통신 서비스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이 됩니다. 이에 미국, 중국, 유럽, 인도 등 글로벌 주요 시장 및 주요국에서는 5G 융합산업 육성에 집중하기 위해 5G 이동통신 인프라 구축에 열을 올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인프라 구축과 더불어 각국에서는 특화망의 도입으로 제조, 의료, 컨텐츠, 자율주행 등 융합서비스 활용 사례가 다양화되고, 새로운 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이 만들어지면서 이동통신 서비스 시장과 융합서비스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는 통신 3사의 28GHz 대역 주파수 할당 취소 및 이용기간 단축 등 28GHz 대역 5G 시장 성장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대신 우리나라는 "이음 5G"(특화망)를 중심으로 시장 활성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부는 특화망 중심의 혁신 및 부가가치창출 사례 확보 프로젝트인 '5G+ 융합서비스 프로젝트'를 2022년 3월에 발표하며 공공 분야에 400억, 민간 분야에 80억 원의 투자를 추진했고 같은 해 12월에는 프로젝트의 성과를 선보이며 민간 분야의 예산을 120억 원으로 확대했습니다. 또한, 실증사업에 참여한 42개 기업과 기관을 중심으로 '5G 특화망 얼라이언스' 출범을 발표하며 민간 차원의 자발적인 확산을 유도하는 5G 특화망 생태계를 조성을 추진하겠다고 전했습니다.

미국은 안보 강화를 강조하는 전략으로 글로벌 통신장비 대중제재를 주도하며  유럽·인도 등 대형 통신장비 시장들의 동참을 끌어내고 있습니다. 2023년 미국 주요 통신사들의 CAPEX 계획은 AT&T 240억 달러 수준, Verizon 182억~192억 달러 수준, T-Mobile은 94억~97억 달러 수준으로 2022년 대비 소폭 감소하나 여전히 상당한 규모의 투자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DISH Network는 2022년 5월, 삼성전자를 5G 통신장비 공급사로 선정했고 삼성전자가 2023년 2월에 초도망 개통을 완료하며 이를 바탕으로 2023년에 미국에 전국망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중국은 통신기술 주도권을 바탕으로 자체적인 통신산업 생태계를 구축하였고 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현재 글로벌 5G 통신 관련 대부분 품목에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는 등 강력한 주도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본은 주요 이동통신사인 NTT도코모, KDDI, 소프트뱅크는 오는 2025년까지 약 16조 원을 투자해 5G 커버리지를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유럽은 5G 커버리지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네트워크 슬라이싱, 5G 특화망 등 새로운 5G 기능을 도입하고 가상 RAN 관련 연구를 강화 중이며, 인도는 2022년 10월, 다른 국가에 비해 비교적 최근에 주파수 경매를 완료하며 본격적인 5G 서비스 보급을 시작했습니다. 인도 통신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3월 초 기준, 인도의 주요 통신사인 릴라이언스지오 및 에어텔은 전국에 10만 개 이상의 5G 기지국을 구축했습니다. 2024년 12월 말까지 5G 커버리지율 100% 달성 목표를 제시하며 5G 관련 수요가 크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중제재의 영향으로 국내 통신장비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이 확대되고, 오픈랜 기술의 활성화로 통신장비 간 연계성이 강해 폐쇄적이었던 네트워크 장비시장이 개방형 구조로 변화되어 국내 통신 S/W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 또한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산업의 특성(2022.12. 사업보고서 내용)

 

새로운 이동통신 기술의 상용화가 진전되면서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과 지원 단말기 및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등 다양한 단계가 수반됩니다. 각 단계의 진행 과정에서 이동통신 사업자와 단말기 개발업체, 네트워크 장비업체 등의 관련 사업자들에게는 다양한 성능 시험 및 검증을 위해 신규 이동통신 기술을 적용한 신뢰할 수 있는 시험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당사의 사업영역인 이동통신 시험/계측장비와 SmallCell은 일상생활에서 직접 사용되는 소비재가 아니며, 주요 고객은 일반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사업자와 단말기 및 네트워크 장비 제조업체 등의 특정 사업자입니다.
 

통신용 시험/계측기 시장은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사용자 요구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고부가가치 제품을 주문에 따라 생산하는 구조이므로 저가품의 대량생산을 통한 이윤창출 구조에 비해 회사의 재고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동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이동통신 시스템 및 기술 전반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동시에 이동통신 기술의 흐름에 따른 시장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당해 시장의 특징들은 보유기술과 시장경험이 미흡한 신규업체들에게 높은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1)  산업의 성장성
이동통신 시험/계측기는 5G 이동통신을 위해 필요한 기술 요구사항에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해야 하기 때문에 5G 기술 요구사항을 선행, 적용하는 기술 선도가 필요한 분야입니다. 5G 기술은 기존의 3G, 4G와 같이 이동통신만을 포함하는 기술이 아니라, IoT 및 차량까지 포함하는 더 넓은 규모의 통신망을 대상으로 하게 되므로 기술 요구사항의 만족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시험 대상의 범위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2020년부터 시작된 5G 상용서비스가 안정되고 발전되면서 5G 서비스의 사용이 대세가 되는 상황에 의해 5G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SmallCell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순차적인 5G 도입으로 인한 SmallCell 제품의 시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2) 경기변동의 특성 등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는 망 고도화가 진행될 때마다 통신세대의 진화에 걸맞게 새로운 기지국을 설치해야 합니다.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 전역에서 기지국을 구성하는 각종 장비가 교체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필연적으로 통신사의 CAPEX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러한 통신사의 CAPEX 증가는 통신장비의 수주 증가로 이어지기에 당사를 비롯한 통신장비업체에게 통신사의 CAPEX 증가는 직접적인 수혜가 됩니다.

 

 

 

시장여건(2023.3. 분기보고서)

 

글로벌 이동통신 서비스 시장은 전국 이동통신망 기반의 통신서비스와 자율주행, 스마트 팩토리, XR등의 융합서비스 두 축을 중심으로 발전 중입니다. 특히 융합서비스 시장은 통신서비스 시장과 더불어 빠르게 성장하며 추후에 이동통신 서비스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이 됩니다. 이에 미국, 중국, 유럽, 인도 등 글로벌 주요 시장 및 주요국에서는 5G 융합산업 육성에 집중하기 위해 5G 이동통신 인프라 구축에 열을 올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인프라 구축과 더불어 각국에서는 특화망의 도입으로 제조, 의료, 컨텐츠, 자율주행 등 융합서비스 활용 사례가 다양화되고, 새로운 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이 만들어지면서 이동통신 서비스 시장과 융합서비스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는 통신 3사의 28GHz 대역 주파수 할당 취소 및 이용기간 단축 등 28GHz 대역 5G 시장 성장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대신 우리나라는 "이음 5G"(특화망)를 중심으로 시장 활성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부는 특화망 중심의 혁신 및 부가가치창출 사례 확보 프로젝트인 '5G+ 융합서비스 프로젝트'를 2022년 3월에 발표하며 공공 분야에 400억, 민간 분야에 80억 원의 투자를 추진했고 같은 해 12월에는 프로젝트의 성과를 선보이며 민간 분야의 예산을 120억 원으로 확대했습니다. 또한, 실증사업에 참여한 42개 기업과 기관을 중심으로 '5G 특화망 얼라이언스' 출범을 발표하며 민간 차원의 자발적인 확산을 유도하는 5G 특화망 생태계를 조성을 추진하겠다고 전했습니다.

미국은 안보 강화를 강조하는 전략으로 글로벌 통신장비 대중제재를 주도하며  유럽·인도 등 대형 통신장비 시장들의 동참을 끌어내고 있습니다. 2023년 미국 주요 통신사들의 CAPEX 계획은 AT&T 240억 달러 수준, Verizon 182억~192억 달러 수준, T-Mobile은 94억~97억 달러 수준으로 2022년 대비 소폭 감소하나 여전히 상당한 규모의 투자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DISH Network는 2022년 5월, 삼성전자를 5G 통신장비 공급사로 선정했고 삼성전자가 2023년 2월에 초도망 개통을 완료하며 이를 바탕으로 2023년에 미국에 전국망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중국은 통신기술 주도권을 바탕으로 자체적인 통신산업 생태계를 구축하였고 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현재 글로벌 5G 통신 관련 대부분 품목에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는 등 강력한 주도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본은 주요 이동통신사인 NTT도코모, KDDI, 소프트뱅크는 오는 2025년까지 약 16조 원을 투자해 5G 커버리지를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유럽은 5G 커버리지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네트워크 슬라이싱, 5G 특화망 등 새로운 5G 기능을 도입하고 가상 RAN 관련 연구를 강화 중이며, 인도는 2022년 10월, 다른 국가에 비해 비교적 최근에 주파수 경매를 완료하며 본격적인 5G 서비스 보급을 시작했습니다. 인도 통신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3월 초 기준, 인도의 주요 통신사인 릴라이언스지오 및 에어텔은 전국에 10만 개 이상의 5G 기지국을 구축했습니다. 2024년 12월 말까지 5G 커버리지율 100% 달성 목표를 제시하며 5G 관련 수요가 크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중제재의 영향으로 국내 통신장비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이 확대되고, 오픈랜 기술의 활성화로 통신장비 간 연계성이 강해 폐쇄적이었던 네트워크 장비시장이 개방형 구조로 변화되어 국내 통신 S/W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 또한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산업의 특성

 

 

새로운 이동통신 기술의 상용화가 진전되면서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과 지원 단말기 및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등 다양한 단계가 수반됩니다. 각 단계의 진행 과정에서 이동통신 사업자와 단말기 개발업체, 네트워크 장비업체 등의 관련 사업자들에게는 다양한 성능 시험 및 검증을 위해 신규 이동통신 기술을 적용한 신뢰할 수 있는 시험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당사의 사업영역인 이동통신 시험/계측장비와 SmallCell은 일상생활에서 직접 사용되는 소비재가 아니며, 주요 고객은 일반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사업자와 단말기 및 네트워크 장비 제조업체 등의 특정 사업자입니다.
 

통신용 시험/계측기 시장은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사용자 요구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고부가가치 제품을 주문에 따라 생산하는 구조이므로 저가품의 대량생산을 통한 이윤창출 구조에 비해 회사의 재고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동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이동통신 시스템 및 기술 전반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동시에 이동통신 기술의 흐름에 따른 시장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당해 시장의 특징들은 보유기술과 시장경험이 미흡한 신규업체들에게 높은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1)  산업의 성장성
이동통신 시험/계측기는 5G 이동통신을 위해 필요한 기술 요구사항에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해야 하기 때문에 5G 기술 요구사항을 선행, 적용하는 기술 선도가 필요한 분야입니다. 5G 기술은 기존의 3G, 4G와 같이 이동통신만을 포함하는 기술이 아니라, IoT 및 차량까지 포함하는 더 넓은 규모의 통신망을 대상으로 하게 되므로 기술 요구사항의 만족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시험 대상의 범위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2020년부터 시작된 5G 상용서비스가 안정되고 발전되면서 5G 서비스의 사용이 대세가 되는 상황에 의해 5G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SmallCell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순차적인 5G 도입으로 인한 SmallCell 제품의 시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2) 경기변동의 특성 등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는 망 고도화가 진행될 때마다 통신세대의 진화에 걸맞게 새로운 기지국을 설치해야 합니다.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 전역에서 기지국을 구성하는 각종 장비가 교체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필연적으로 통신사의 CAPEX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러한 통신사의 CAPEX 증가는 통신장비의 수주 증가로 이어지기에 당사를 비롯한 통신장비업체에게 통신사의 CAPEX 증가는 직접적인 수혜가 됩니다.

'기업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몰셀 기업  (0) 2023.07.19
이노와이어리스 관련 뉴스  (0) 2023.07.12
이노와이어리스 매출 경향성  (0) 2023.07.09
이노와이어리스 뉴스  (0) 2023.07.02
ACCUVER  (0) 2023.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