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Q21 영업적자 기록
한국/인도 공장의 매출 증가에도, 미국 법인 적자와 물류비/인건비 증가로 영업적자 기록.
• 부품사 물류 비용 급증: 해외 공장의 경우 주요 부품이 CKD(부품들을 그대로 수출해서 목적지에서 조립하여 판매)방식으로 한국에서 수출되는 경우가 많음. 에스엘은 내부거래 매출 비중이 12% 수준.
• 법인세율 197.7%: 세무 조사로 일회성 법인세 증가. 2022년 미국 법인 매출 증가가 성장 동력: 2Q22이후 현대차/기아와 GM의 미국 생산 회복 으로 에스엘 미국 공장 매출도 1조원(+49%YoY) 돌파 전망. GM은 픽업트럭 출시
2분기 이후 가동률 회복 전망
반도체 부족에 대한 주식 시장의 실망이 이어지고 있으나, 상황은 2021년보다 개선. 3월 이후 글로벌 완성차의 월별 생산 회복 예상.
• GM, +20~25%YoY 판매 증가 가이던스: 글로벌 완성차 업체 중 가장 높은 가이던스 제시 GM 전기차 중 Bolt와 Lyriq에 LED램프 납품 중인데, Bolt는 4월 생산재개. Lyriq의 생산 계획은 3,200대 →25,000대로 7.8배 증가. GM 소형 SUV Terrain(2021년 3월 출시에서 2022년 3월로 지연/ 연산 15만 대), 픽업트럭 Sierra(2022년 1월 생산/ 연산 30~35만 대), 픽업트럭 콜로라도 (1Q23 생산 / 연산 12만 대)에 차례로 램프 납품 예정.
• 현대차/기아 전기차 판매 목표 상향 조정 예상: 2022년에 E-GMP 전기차 생산을 30만 대 (+100%YoY)로 증가 계획. CEO Investor Day를 통해 2025년 및 2030년 전기차 판매 목표가 크게 상향될 전망. 2022년에 출시되는 현대차/기아 전기차 모델 6개 차종에 LED 램프 납품. G80을 제외하고는 제네시스 전 차종에 LED 램프를 납품하고 있어, 제네시스 2025년 이후 전 차종 전기차 전환의 수혜주가 될 전망.

PER, PBR밴드 차트


2022년 PER은 8.1, PBR은 0.7로 추정됨.
2020년에서 2022년으로 가면서 ROE가 4.7, 6.7, 9.6 점진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주요제품

가격변동 추이

지역별 매출액

경영상의 주요 계약

'기업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부품]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리포트 모음) (0) | 2022.06.03 |
---|---|
[반도체장비] 한미반도체 실적 추이 (0) | 2022.06.02 |
[반도체] 아이원스 자료 정리 (0) | 2021.12.25 |
[미국 미용에스테틱] Inmode(IMND) (0) | 2021.12.24 |
[자동차부품] 서연이화 자료 정리 (0) | 2021.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