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산업의 경우 진입장벽이 높아 일정 규모 이상의 거대 처리업체가 산업을 지배하는 과점적 성격의 산업임.
목표 시장인 영남권 매립과 소각처리(또는 매립처리업체, 소각처리업체) 24여개사 중 당사와 직접 경쟁상황에 있는 업체로는 울산 지역의 유니큰 울산공장, NC울산, 등 5개사이며, 영남권 주요 경쟁사로는 경남의 에코시스템, KM그린, 경북의 동양에코, 그린바이오등 6개사임.
수요자의 구성 및 특성
- 당사의 매출(스팀판매제외)을 기준으로 목표시장 내 수요자를 분석해보면 2020년에는 총 289개 업체로부터 매립 63,783톤(158억원), 소각 184,452톤(325억원)을 처리하였으며, 처리부분중 연간 매출액 상위 10개사의 매출구성비가 36.2%(174억원), 상위 50개사의 매출구성비는 75.4%(362억원)에 이르며 이들 대부분은 제조업 위주의 대형 배출업체임.
- 폐기물의 수량은 매립폐기물과 소각폐기물의 우열이 매년 차이가 있으나, 단위당 매출금액은 소각폐기물이 매립폐기물보다 높은 수준으로 형성됨.
- 시장의 규모를 예측해 보면 목표시장인 영남권은 수량측면에서는 매립 위탁처리 시장이 소각처리 시장보다 다소나마 넓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매출금액 측면에서는 소각 위탁처리 시장이 매립 위탁처리 시장보다 넓을 것임을 판단할 수 있음.
수요 변동요인
- 목표 시장의 수요 변동요인으로 영남지역 경기상황이라고 할 수 있는데 폐기물발생량이 경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임.
- 경기상황은 인접지역의 산업업종의 구성이나 특성에 따라 그 영향의 정도는 차이가 날 수 있는데, 제조업 위주의 배출업체가 많은 영남지역은 제조업 경기에 따른 생산 공장의 가동률의 증감에 의해 생산되는 제품과 더불어 폐기물 발생량이 증감하게 되며, 건설경기에 따라 건설폐기물의 증감현상이 나타나게 됨.
- 계절적 요인도 수요변동 요인의 하나로 작용되는데, 정기보수기간(SHUT DOWN)에는 공장보수관계로 폐기물 발생량이 증가하며, 건설폐기물의 경우는 연말과 연초의 경우 건설공사의 저조로 폐기물 발생량이 줄어들어 비수기를 형성하기도 함.
- 배출업체의 자가 처리시설의 운영상황이 수요의 변동요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자가 처리시설의 보수기간 중이거나 관리운영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 위탁시장의 폐기물처리수요가 증가함.
- 발생되는 폐기물의 처리방법 변경에 따라 소각 및 매립처리대상 폐기물의 증감 현상이 발생함.
- 일반적으로 배출되는 폐기물의 성분이 악화될 경우 재활용 등으로 처리될 수 없기 때문에 소각 및 매립으로 처분해야 하며, 기존 매립으로 처리하였던 품목을 소각처리하게 되거나, 해양투기로 처리되던 품목이 소각이나 매립으로 처리하게 되는 등 정부의 폐기물 품목별 처리방법의 변경이 있을 경우에는 변경된 해당 처리업체에서의 폐기물량은 증감될 수 있음.
- 폐기물시장은 재활용촉진법 등 법에의한 영향에 따라 경쟁시장인 재활용업체들과의 경쟁에 의한 상대적 시장내 폐기물량은 증감될 수 있음.
'기업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엔텍] 매출액, 매출량, 단가 추이, CAPEX, 배당내역, 단가산출기준 (0) | 2023.04.16 |
---|---|
[코엔텍] 주요 계약 사항 (0) | 2023.04.16 |
[공유] SKC (1) | 2023.01.21 |
신성이엔지 뉴스 (0) | 2022.11.10 |
[자동차부품]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리포트 모음) (0) | 2022.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