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건재
ACT Column
열연강판을 절곡 냉간 성형하여 폐쇄형 강관을 제작, 기존의 H형강 및 Box Column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제품으로 제작성과 경제성을 고루 갖춘 신개념 건축용 콘크리트 합성기둥 (CFT : Concrete Filled steel Tube).

· 기둥단면이 감소되어 공간이용률이 증대: RC구조 대비 축소된 기둥 사이즈로 인해 기둥 순경간이 증가하여 주차면적 확보 및 유효공간 확보에 유리
· 박스 모양으로 뛰어난 안정감과 구조적 안정이 확보: 좌우 대칭으로 인해 뛰어난 안정감과 구조적 안정이 확보되며 앵커형 리브에 의한 좌굴 내력이 향상됨. 구조실험을 통해 우수한 내진성능을 확인
· 공장 자동생산으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작기간이 단축됨: 공장자동생산라인과 간단한 제작공정으로 인해 일반 CFT 및 Built-Up H형강에 비해 발주 후 현장 반입까지 소요시간이 단축되며 다양한 치수의 제품이 생산 가능하여 현장 적용 용이.
· 강재량 절감과 공사기간 단축으로 공사비용이 절감: 기둥의 내력이 증가하여 강재량이 절감되고, 거푸집 및 철근 배근 등 현장작업의 최소화로 인해 공사기간 단축 및 자재비를 절감

ACT Pile
흙막이 벽체의 엄지말뚝을 대체하는 신기술 Pile로써, 냉간 성형 부재와 덧판을 붙여 폐쇄형 단면을 만들고,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합성부재

· H-Pile (엄지말뚝) 강재 대비 허용모멘트 1.5배~ 2.5배 증가 : SM355A 강재 사용, 내부 철근 보강으로 강성이 증대되고 상부 플랜지 두께 조절, 내부철근 보강으로 휨모멘트에 대하여 최적설계가 가능. 또한 Pile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횡좌굴에 대한 저항력이 극대화
· 다수의 천공 공수가 감소함에 따라 공사비 절감 및 공사 기간이 단축: ACT Pile의 큰 강성으로 간격을 증가시켜, 천공수가 감소함에 따라 가설 지보재의 수량이 함께 감소. 강재량 및 공사비가 절감
· Strut 단수 감소에 따른 굴토 공기가 단축되고, 시공성이 향상 : ACT Pile 천공수량의 감소에 따라 암반 천공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공사 기간이 약 30% 단축되고, 소음 및 진동 등 주요 민원 최소화


ACT PILE은 기존 H PILE에 비해 강성이 크므로 엄지말뚝간 거리 이격 가능.
엄지말뚝간 거리 이격으로 강재물량 감소, 암반 천공 공기단축. → 강재량 절감에 따른 공사비 절감, 암반천공 감소에 따른 민원발생 감소.
H PILE과 동일한 시공성 → 시공성 우수.

AU BEAM
바닥 콘크리트와 합성용 전단연결재 및 압축 저항 요소인 상부 A형 Cap과 Deep Deck (또는 트러스일체형데크)를 보 단면의 중간에 거치하고 영구거푸집 강재 인장저항 요소인 하부 용접조립 U형 단면을 서로 폐합하여 폐단면 박스형 단면구조를 갖도록 구현한 층고절감 반슬림형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AU 합성보 공법)

· 폐단면 및 충전형으로 구조안전성이 우수: A캡 + U형 단면을 결합한 폐단면 박스형 단면구조로서 내부에 콘크리트 충전으로 휨강도(강성), 내화성이 향상되고 폐단면 접합구조로 중간모멘트 골조를 상회하는 접합부 성능을 가지고 있음. 유사동적 실험결과 Ductile Behavior로 인성을 확보.
· 바닥판 대응 및 제작, 현장 시공성이 우수: 트러스데크, Deep Deck, PC슬래브 등 다양한 바닥시스템에 적용가능하고, 하부 U형 단면을 3-pieces로 용접조립제작 함으로써 Pre-camber를 구현할 수 있음. 장스팬 Deep Deck 적용으로 작은 보를 생략하여 부재수 감소로 설치공정이 간편.
· 반슬림 플로어 시스템으로 경제적: AU보의 단면 중간에 데크가 거치되어 건축설계 단계에서 층고 절감을 실현하고 외장재 면적 감소와 고도 제한지역에서 임대면적이 증가하는 슬림 플로어 구조시시템을 구현. 충전 ACT Column과 조합시 일반적인 H-형강 철골조 대비 20~25% 물량절감을 기대 가능.

HyFo(Hybrid Forming) Beam
효율적 단면 배치로 휨내력이 뛰어나며 강재량 절감과 고하중, 장스팬에 유리한 철골구조와 RC구조(철근 콘크리트)의 장점을 모두 취합한 합성보


D Column
철근을 용접한 CFT 기둥을 공장 제작하여 경제성, 시공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 기둥

· 시공성 : 다양한 형태의 보 접합 가능, 스터드 대체로 시공성 향상
· 경제성 확보: 판폭 두께비 감소로 경제성 확보, 강판 공장제작으로 제작비 절감, 스터드볼트 철근대체로 작업성 증대
· 내화피복 불필요: 외부 콘크리트 타설 시, SRCC 구조로 내화피복 불필요
· 단면성능 향상: 강축, 약축 동일 성능, 콘크리트와 강재의 합성 효과

TH-Beam
와이드 튜브에 몰탈 · 콘크리트를 충전한 상부 튜브플랜지와 하부 T형 단면에 고강도 강판(325Mpa 이상) 하부 플랜지로 최적 설계하여 상부 플랜지의 압축 좌굴저항 및 비틀림 특성치를 향상시킨 장스팬 공장시스템, 플랜트시설, 대형 물류/저장시설을 위한 하이브리드 튜브플랜지를 갖는 Tube H-Beam 시스템건축( TH-Beam 공법)

· 튜브형 압축플랜지로 인해 좌굴 및 구조안전성이 우수: 튜브 플랜지에 몰탈·콘크리트를 충전하여 판 좌굴 강도가 향상되고, 비틀림 관련 특성치(J값, Cw값)가 향상됩니다. 또한, 기존 H-형강 대비 상부 플랜지의 안정으로 휨강도 향상
· H-형강과 동일한 접합구조로 시공 편리: 기존 H-형강과 동일한 접합방식으로 작업의 생소함이 없고 장스팬 H-형강 Roof Beam 대비 Sub- Beam 설치간격이 40%가 증가. 골조 간격증가나 부재수 감소로 양중·설치의 단순화
· 무바닥판 또는 노출형 구조물에 경제적인 시스템건축 실현: 바닥판이 없거나 노출형 골조로 스팬 20m 이상인 공장시설과 물류/저장 시설에 적합하고 플랜트시설(발전/정제), 파이프랙 등 획력(지진)저항에 Sub-Beam과 브레이스가 최적화됨. 기존 H-588~H-912 단면 대비하여 부재 휨성능이 향상되어 20% 이상 물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

'기업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JW 생명과학 뉴스 팔로우 업 (1) | 2023.09.24 |
---|---|
나이스 디앤비 (0) | 2023.09.07 |
이노와이어리스 Small cell 관련 문서 (0) | 2023.08.17 |
스몰셀 기업 (0) | 2023.07.19 |
이노와이어리스 관련 뉴스 (0) | 202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