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간둥이송선생

PBR

최선을다하는행복 2022. 7. 26. 17:30

Price- to- Book Ratio (북밸류)

PBR이 애증의 지표이자 고통을 많이 받는 지표이다. PBR을 본다고 하는 사람들은 고통을 받는다.

BPS(주당순자산)
장부에 적혀있는 순자산, 자본총계를 발행된 주식수로 나눈 것
PBR
현재주가를 BPS로 나눈 것

예) 주당 순자산이 만원인데, 현재 주가가 만원이면 PBR은 1임.


재무제표를볼 때-재무제표는 현재 자산의 구성을 보여주는 재무상태표, 일정기간 동안 돌을 얼마나 벌었는 지 보여주는 손익계산서, 현금흐름을 보여주는 현금흐름표 이 세 개를 가장 많이 본다.
PBR은 손익계산하고는 큰 상관은 없고 재무상태표에 있는 자산 중에 자본 총계(순자산)랑 관련이 있다.
회사의 자산 총계에서 자산을 구성하는 것은 부채와 자본이다. 자본하고 부채가 합쳐지면 자산이된다.
자산에서 부채를 빼고 자본 총계에서 발행주식수를 나누면 BPS가 나온다. PBR이 1배 미만이면 저평가인가?
PBR은 회사의 가격이 떨어질 때 어느 정도까지 떨어질까를 추정할 때 요긴한 도구이다. 하방을 단단하게 다져주는 도구가 PBR이다.
주가가 상방으로 뚫릴 때는 PER를 본다. 지금 PER말고 내년..내후년..
PBR을 볼 때는 회사가 어떤 산업에 속하고 어떤 비지니스 모델을 갖고 있고, ROE는 얼마나 내는지, 성장성, 수익률 등을 종합적으로 봐야한다.

왜 PBR이 안정적인 지표냐?
PBR은 BPS에서 산출되는 지표이고 PER은 EPS에서 산출되는 지표다.
주가가 등락하는데 미치는 영향은 PER이 훨씬 크다. 앞으로 예상되는 PER가 낮아지면 주가는 급등할 가능성이 높다.예상 PER가 높아지면 주가는 급락할 가능성이 크고, 이 예측 PER에 따라서 주가가 급변동할 가능성이 크다.
주가가 급변동하더라도 어느 정도 가격이 떨어지는 하방을 막아주는게 PBR이다.
순이익은 변동성이 큰데 자본총계는 변동성이 적다.


가급적이면 정확 BPS를 산출하라!!!
네이버에서 대충보면 안된다. 다트에서 숫자를 직접 뽑아서 산출을 해야한다. 밸류에이션 지표는 꼭 직접 계산을 하라..


BPS 재산출 과정: 자산의 시가평가
: 이 회사의 자산을 보면 유동자산(현금 및 현금성자산, 재고자산, 기타유동자산), 비유동자산(유형자산..)이 있다. 그런데 이것들을 장부에 적힌 대로 다 받을 수 있냐..그걸 계산을 한 번 거쳐야 한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 금융자산(CMA) 이런 건 그냥 더하면 된다.
재고자산의 처리- 어떤 재고인지 중요하다. 시간이 지나면 가치가 떨어지는 것인지 파악할 것
유형자산의 처리
부동산: 땅값은 올랐을 수도 있고, 건물은 감가상각이 되는 거 계산을 해야한다. 땅이 자산 재평가가 된다면 주가를 폭발적으로 올리는 촉매가 될 수 있다.
무형자산(어렵다)
브랜드, 영업권..

PBR 플레이가 어렵다. 무형자산의 가치가 클 때..
무형자산이 미치는 영향은 아주 많이 공부해야한다.


자산에서 부채를 빼야한다.
부채의 질을 분석해야한다. -선수금, 충당금… 현실에 근거한 BPS가 나온다. PBR이 아주 낮은 회사에 투자하면 좋지만 이런 회사들의 맹점은 완전 사양사업, 회사가 망하기 직전인 경우가 많다. 그렇지만 이런 회사들 중에서 시장의 오해를 받는 종목도 있다. 실제는 안그런데 마켓뷰가 안좋아서 억눌려 있는 종목..
촉매를 받으면 아주 폭발적으로 성장한다.

PBR만 본다고하면 PBR만 보는 줄 아는데..아니다. 아주 철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해서 PBR 투자를 한다. 잃지 않는 투자를 하기 위해서..
PBR과 현금 흐름이 중요하다.

DPS도 주가 하방을 잡아주는 역할이 있다. (DPS=주당배당금)


https://youtu.be/2pV2ZDeW62k






'재간둥이송선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727 텔레  (0) 2022.07.27
싸고 좋은 회사.(GOOD&CHEAP)  (0) 2022.07.27
확실하지 않으면 승부를 걸지 마라  (0) 2022.07.26
20220726 텔레  (0) 2022.07.26
20220725 텔레  (0) 2022.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