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채권회전율
매출채권 : 어떤 회사에 상품, 재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아직 받지 못한 돈
매입채무 : 거래 상대방에게 상품, 재화, 서비스를 받았는데 아직 주지 못한 돈
재고자산 : 만들어 놓았는데 팔지 못한 물건 재무상태표에서 어디있나 찾아보면

매출채권은 자산- 유동자산 항목에 찾아보면 있다. (유동자산: 1년 안에 회수될 것으로 기대되는 것, 받는데 1년 이상 걸릴 것 같은 것은 비유동자산이 된다.-장기매출채권) 재고자산도 자산항목에 있다. 매입 채무는 내가 남한테 줘야하는 돈이므로 부채 항목에 있다.

회전율을 구해보자.
매출채권회전율=매출액/매출채권
: 높을수록 좋다. 외상으로 받을 돈을 얼마나 빨리 빨리 잘 돌려받고 있는가?
-자세한 계산법
매출액(수익)[당기]/((장기매출채권[당기]+매출채권[당기])+(장기매출채권[전기]+매출채권[전기]))/2
예를 들어보면

삼성전자는 매출채권 회전율이 조금씩 떨어지고 있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도 조금씩 떨어지고 있다.
삼성전자가 훨씬 우량한 회사임에도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보다 매출채권회전율이 떨어지나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B2C 고객을 직접 상대하는 현금장사를 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제품 인도 후 나중에 돈이 들어와서 그렇다.
매출채권회전율 지표를 볼 때,
1. B2C 현금장사를 하는 회사인가? B2B 수주업인가?
2. 과거 매출채권회전율과 비교해서 회전율이 올라오는 추세인가? 내려가는 추세인가?
회사의 BM이 바뀌었는가?
3. 비슷한 경쟁업체와 비슷해서 매출채권 회전율이 높은지 낮은지?
다각도로 볼 필요가 있다.
재고자산회전율
재고를 얼마나 잘 소진하느냐?
재고자산회전율 = 매출액 / 재고자산
-자세한 계산법
매출액(수익)[당기]/((재고자산[당기]+재고자산[전기])/2)

LG생활건강의 경우 2017년에 매출을 올리는 동안 재고가 11바퀴돌고 2021년에는 8바퀴가 돈다는 뜻. 재고도는 속도가 점점 느려진다.
현대차는 재고도는 속도가 점점 빨라진다.
재고자산회전율 지표를 볼 때,
1. 일반적으로 회전율이 높으면 좋지만, 너무 높으면 회사에서 제품 생산을 할 때 물량 비중을 잘 조절을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다각도로 볼 것
2. 업종별, 판매하는 제품의 특징별로 재고자산 회전율은 다르다.
생필품의 회전율은 높지만, 귀금속은 회전율이 낮다.
3. 과거의 재고자산회전율과 비교해서 오르는 추세인지 내리는 추세인지..
4. 경쟁관계에 있는 비슷한 타 업체와 비교해서 회전율이 높은지 낮은지..
너무 높아도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뜻이다. 어떤 지표가 적정하다를 찾기보다는 추이를 잘 살펴서 상태를 파악할 것
매입채무회전율
내가 갚아야할 돈을 얼마나 늦게 돌려주고 있는가?
매입채무회전율 = 매출액/ 매입채무
-자세한 계산법
매출액(수익)[당기]/((장기매입채무[당기]+매입채무[당기])+(장기매입채무[전기]+매입채무[전기]))/2 매출채권은 빨리 받으면 좋고 매입채무는 늦게 주면 좋다.
늦게 줄 수 있다는 것은 기업이 가격 결정권이 있다는 뜻. 기업이 업종 내에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는 조금씩 늦게 주고 있고 월덱스는 조금씩 빨리주고 있다. 회사마다 봐야한다.
삼성전자가 경영환경이 안좋아질 경우에도 늦어질 수 있다. 24회는 보름마다 결재하는 것
매입채무회전율 지표를 볼 때,
1. 일반적으로 업종 내 지배력이 있으면 줄 돈을 늦게 준다.
2. 매입채무회전율이 매출채권대비 또는 경쟁사 대비 낮으면 시장 지배력이 있는 것으로도 해석이 가능
3. 매입채무회전율이 높아지면 운전자본 규모가 커져서 자금 운용에 부정적
4. 다만, 지배력이 있는 기업이 매입채무회전율이 높다면 협력사들과 높은 신뢰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5. 매입채무회전율 역시, 역사적 흐름과 경쟁사 비교 등 다각적인 시각으로 보아야 한다.

매출채권회전일수는 한 바퀴 매출채권을 회수하는데 며칠이 걸리냐
재고자산회전일수 한 바퀴 소진시키는데 며칠이 걸리냐
… 기간이 일수니까..며칠로 나옴…
2021년 삼성전자의 매출채권 회전일수는
매출채권회전일수 = 회계기간/ 매출채권회전율
46.98일 = 365일/7.77
재고자산회전일수 : 47.9
매입채무회전일수 : 15.14
CCC 지표를 활용해보자.
Cash Conversion Cycle, 현금잠김일수, 현금전환일수 CCC = 매출채권회전일수 +재고자산회전일수-매입채무회전일수
삼성전자의 CCC는 얼마인가? (2021년 기준)
46.98+47.9-15.14 = 81.74
이것의 의미는 삼성전자가 어떤 제품을 만들어 외상으로 팔고 돈을 돌려받고 하는 한 사이클이 도는데 81일이 걸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제조업 평균이 66일
삼성전자 운전자본 중에서 현금이 81일 동안 묶여버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CCC가 낮을수록 현금흐름이 좋다는 의미이다.
애플하고 아마존의 경우 CCC가 마이너스가 나왔다는 것은 어마어마한 것. 매출에서 현금장사를 해서 현금으로 바로 돈을 받고 재고가 없고 남한테 줄 돈을 최대한 안주면 마이너스가 됨. 아프리카티비 재고자산 0, 별풍선 현금들어오면 CCC 마이너스가 될 수 있다.

오뚜기가 CCC가 16일 정도였던데 최근에 올라오고 있음. 최근에 회사 안에 현금흐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임. 반면 CJ제일제당은 현금흐름이 좋아지고 있다.
https://youtu.be/g6Y-vDOMC7w
'재간둥이송선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시정보 활용 Q& A (0) | 2022.08.11 |
---|---|
DCF 현금흐름할인 밸류에이션 툴 (0) | 2022.08.04 |
20220727 텔레 (0) | 2022.07.27 |
싸고 좋은 회사.(GOOD&CHEAP) (0) | 2022.07.27 |
PBR (0) | 2022.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