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따라 걷기/책읽기

[도서] 현명한 투자자(4) - 투자와 시장 변동성

최선을다하는행복 2022. 6. 9. 16:52

가격 변동성을 이용하는 투자

 

수익 기회를 잡는 방법은 두가지로서 '시점 선택(timimng)'과 '가격 선택(pricnig)'이다. 

 

시점 선택이란, 주가 흐름을 예측하여 주가 상승이 예상될 때에는 주식을 매수하거나 보유하고, 주가하락이 예상될 때에는 주식을 매도하거나 매수를 보류하는 방법이다. 

 

가격 선택이란, 주가가 적정 가격보다 낮을 때에는 주식을 매수하고, 적정 가격보다 높을 때에게는 주식을 매도하는 방법이다. 

 

더 소극적인 가격 선택으로는, 주식을 매수할 때 지나치게 높은 가격을 치르지 않도록 유의하는 방법도 있다. 장기 보유에 주력하는 방어적 투자자라면 소극적인 가격 선택으로 충분할 것이다. 

 

투자자가 매수 신호를 기다리면서 1년 정도 현금을 보유할 때 얻는 이득은 무엇일까? 소득을 보상하고도 남을 만큼 충분히 낮은 가격에 주식을 매수할 때에만 이득을 얻게 된다. 전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사지 못한다면, 시점 선택은 투자자에게 아무 소용이 없다는 뜻이다. 

 

 

저가매수 고가매도 

 

'빈틈없는 투자자'

모두가 매도하는 약세장에 사서, 모두가 매수하는 강세장에 다 파는 투자자

 

강세장의 공통적인 특성

1) 역사적 고점 기록

2) 높은 PER

3) 채권 수익률보다 낮은 배당수익률

4) 신용 거래 투기 증가

5) 부실 기업의 신주 공모 성행

 

명백한 약세장을 확인하고서야 주식을 매수하는 전략을 따르는 것은 비현실적으로 보이기도 한다.

 

 

시장변동과 주식 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에서 주식과 채권의 비중을 기계적으로 조정하는 기법

-이 기법의  최대 장점은 투자자에게 뭔가 할 일을 만들어준다는 것

주가가 상승하면 가끔 보유주식을 매도하고, 그 대금으로 채권을 매수한다. 반면에 주가가 하락하면 보유 채권을 매도하고, 그 대금으로 주식을 매수한다. 

올바른 투자자라면 대중과 정반대로 매매한다는 생각에 더 만족감을 느낄 것이다. 

 

 

기업 평가와 주식시장 평가

 

주식시장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주주는 대차대조표 순자산가치에 주목하는 동업자보다, 주식의 시장 가격에 주목하는 투자자에 가까워졌다. 성공적인 기업들은 거의 언제나 주가가 순자산가치보다 훨씬 높기 때문이다. 이런 프리미엄을 지불하는 투자자는 성패를 운에 맡기는 처지가 된다. 그가 지불한 프리미엄이 타당한지는 오로지 시장 변동에 좌우되기 대문이다. 

 

기업의 실적이 좋고 전망이 밝을수록, 그 주가는 장부 가치와 더 무관하게 움직인다. 장부 가치에 더해서 프리미엄이 커질수록, 내재가치 평가 기준이 더 불확실해진다. 프리미엄이 커질수록, 주로 시장 분위기 변화에 따라 프리미엄이 더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결국 기업이 성공적일수록, 주가의 변동성이 더 커진다는 모슨에 도달하게 된다. 더 훌륭한 기업의 주식일수록 투기성이 커진다는 뜻이다. 적어도 평범한 비우량주보다 더 투기성이 커진다는 의미다. 

 

방어적 투자자는 주가가 유형자산가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주식을 선정하는 편이 좋다. - 주가가 유형자산가치에서 3분의 1을 초과하지 않는 종목이 바람직하다. 

단지 유형 자산 가치와 비슷한 가격에 산다고 해서 모두 건전한 투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건전한 투자가 되려면 PER도 만족스러워야 하고 재무구조도 충분히 건전해야하며 장기간 수익성 전망도 밝아야한다. 

 

주가가 유형자산가치와 비슷한 종목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고PER 종목이나 고PBR 종목을 보유한 사람들보다 주가 변동에 훨씬 더 초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