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따라 걷기/책읽기

현명한 투자자(5) - 초보 투자자의 기업 분석

최선을다하는행복 2022. 6. 14. 20:32

주식 분석

이상적인 주식 분석 방식은, 현재 가격에 매수해도 매력적인지 비교할 수 있는 분석 방식이다. 흔미 미래 일정 기간의 이익 추정치에 적정 자본화계수(capitalization factor)를 곱해서 산출한다. 

미래 이익을 추정할 때에는 대개 과거 판매량, 판매 가격, 영업 이익률 데이터를 사용한다. 미래 매출액을 추정할 때에는 과거 판매량과 판매 가격이 향후 어덯게 변화할 것인지 가정을 세운다. 이 때에는 먼저 GDP예측치를 근거로 삼아 해당 업종과 기업의 변화를 추정한다. 

그러나, 개별 종목 추정치 추정치 중에서 믿을 만한 추정치를 사전에 가려내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자본화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 일반적인 장기 전망

2. 경영

주의: 경영요소는 과도한 고평가가 되기 쉽다. 주목해야할 시점은 실적이 부진하던 회사에서 경영자가 교체된 직후이다. 

3. 재무건전성과 자본구조

두 회사의 주가와 EPS가 똑같다면, 잉여현금은 많고 부채는 없는 기업이, 영여 현금은 없고 은행 대출금과 발행 채권이 많은 기업보다 훨실히 낫다. 채권, 우선주, 은행대출이 많지 않다면 나쁘지 않다. 

4. 배당실적

우량주를 찾아내는 가장 확실한 기준 하나가 장기간 연속 배당지급 실적이다. 20년 이상 연속 배당지급 실적이라면 기업 평가에 중요한 가점 요소가 된다. 

5. 배당성향

대부분의 기업이 표준 배당 정책을 따르고 있다. - 일반적으로 평균 이익의 약 3분의 2를 배당으로 지급하되, 이익이 많은 기간이나 인플레이션에 의해 자본 수요가 증가하는 기간에는 배당비중을 낮추는 정책이다. 배당과 이익이 정상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기업이라면, 배당이나 이익 어느 것으로 주식을 평가해도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성장주에 적용하는 자본화계수

 

성장주의 적정주가=EPS*(8.5+2*기대성장률)

 

고성장주를 평가할 때에는 이러한 기대성장률이 실현될 것이라고 추측하더라도, 다소 낮춰서 계산해야한다. 기대성장률 계산에 안전마진을 반영해야한다. 그러면 실제 성장률이 공식에서 산출된 기대성장률보다 낮아도 투자 목표가 달성될 수 있다. 기대성장률이 그대로 실현된다면 추가 수익도 많이 얻게 된다. 

- 고성장기업은 평가할 방법이 정말 없다. 이때에는 현재 이익에 곱할 적정 자본화계수와 미래 이익에 곱할 예상 자본화계수에 대해 현실적인 가정을 세워야한다. 예를 들면 기업 성장률 예측같은

예상 실적을 이용한 주식 평가가 신뢰도 높은 작업이 되려면, 미래 금리도 고려해야한다. 금리가 상승한다고 가정하면, 예상 이익이나 배당 등 현금 흐름의 현재가치가 감소한다. 

 

 

산업 분석

 

산업 및 기업의 경제 상황에 많은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현재 시장에서는 간과되고 있지만 장래에 영향을 미칠 중요한 요소에 대해 값진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이로부터 확실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면, 이를 바탕으로 타당한 투자를 할 수 있다. 

그러나 투자자들이 접하는 산업분석자료 대부분은 실제로 가치가 거의 없다. 대부분 자료가 대중이 알고 있는 내용이어서, 이미 주가에 충분히 반영되어 있다. 

현재 숫자로는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면서, 자로 막연한 미래 예측을 바탕으로 하는 투자는 위험하다. 실적으로 냉정하게 계산한 가치만을 고수하는 투자도 어쩌면 똑같이 위험하다. 

 

투자자는 상상력을 발휘하여, 예측이 적중할 때 보상으로 받게 되는 큰 수익을 추구할 수 있다. 

 

 

2단계 분석 작업 

 

1) 과거실적가치 산출 공식을 개발한다. 

2) 이 공식을 모든 기업에 기계적으로 적용해서 과거 실적 가치를 산출한다.

3) 미래 상황변화를 고려해서 실적이 얼마나 달라질지 판단하여, 과거 실적 가치를 적절히 조정한다. 

 

- 과거 실적 가치, 조정한 가치, 조정한 이유를 모두 기록으로 남기자

- 증권을 체게적으로 철저하게 분석하기 전에는 함부로 매수/매도 결정을 내려서는 안된다.